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순복음교회’라는 이름을 찾아보다 보면 반드시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오순절입니다.
단어만 보면 뭔가 종교적인 절기 같기도 하고, 교단 이름 같기도 하지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오순절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오순절주의가 어떤 신앙을 말하는지 알기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오순절이란, 오순절주의 대표 이미지

오순절이란?

‘오순절’(五旬節, Pentecost)은 기독교의 대표적인 절기 중 하나로, 부활절 후 50일째 되는 날을 뜻합니다.
성경 <사도행전 2장>에 따르면, 이날 예수님의 제자들이 모여 있을 때 성령이 강림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즉, 오순절은 성령이 사람들에게 임한 사건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이 사건 이후, 제자들은 두려움을 버리고 복음을 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오순절은 단순한 절기가 아니라, 기독교 역사에서 ‘교회의 시작점’으로 여겨지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십자가

오순절주의란?

오순절주의(Pentecostalism)는 바로 이 성령 강림의 사건을 신앙의 핵심으로 삼는 기독교 신앙 운동입니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퍼졌고, 한국에서는 순복음교회를 중심으로 뿌리내렸습니다.
오순절주의는 다음 세 가지 특징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성령 체험 중심의 신앙
    신앙은 머리로 아는 교리가 아니라, 성령의 임재를 직접 경험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대표적으로 ‘성령세례’와 ‘방언’, ‘신유(병 고침)’ 같은 체험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2. 성경 중심의 복음 이해
    인간의 철학이나 논리를 배제하고, 성경 말씀 그대로 믿는 태도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순복음(純福音)’이라는 표현도 여기서 비롯된 것입니다.
  3. 실천적인 믿음
    신앙은 예배당 안에서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 기쁨과 감사, 이웃 사랑으로 드러나야 한다고 봅니다.

오순절주의자들은 이런 신앙을 통해 초대교회 당시의 열정과 성령의 능력을 현대에도 되살리고자 합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처럼 신뢰할 수 있는 종교 연구기관인 The Pew Research Center의 통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개신교인의 약 25%가 오순절 신앙 또는 은사주의 신앙을 따르고 있다고 합니다.

성경

한국의 오순절 운동과 순복음

한국에서는 1950년대 후반부터 오순절 신앙이 본격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대표적인 교단이 바로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순복음)이며,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퍼졌습니다.
‘순복음’이라는 명칭은 ‘성령으로 충만한 순수한 복음’이라는 뜻으로, 오순절주의의 핵심 신앙을 담고 있습니다.

오순절 신앙은 단순한 교리적 차이를 넘어, 삶 속에서 믿음을 체험하고 실천하려는 운동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예배당

마치면서

정리하자면, 오순절이란 성령이 임한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고,
오순절주의는 그 체험을 신앙의 중심에 두는 기독교 운동입니다.
이 신앙은 감정적 열정보다는 성경에 기초한 성령의 역사와 실제적인 삶의 변화를 중요하게 여깁니다.
결국 오순절주의는 초대교회의 신앙을 오늘의 삶 속에서 되살리려는 믿음의 실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순절은 기독교 절기인가요?

네. 예수 부활 후 50일째 되는 날을 기념하며, 성령이 강림한 사건을 뜻합니다.

 

오순절주의는 다른 개신교와 다르나요?

기본 교리는 같지만, 성령 체험과 예배의 자유로움이 더 강조됩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그리스도 뜻: 어떤 단어를 한글로 읽은 표현일까?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