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0%

얼마 전 뉴스를 보다가 이지스함이라는 단어가 귀에 들어왔습니다. 처음엔 그냥 커다란 전투함 정도로만 생각했는데, 괜히 궁금해져서 조금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알고 보니 단순한 군함이 아니라, 현대 해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맡는 시스템이더군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이지스함 이란 무엇인지, 이지스함 보유국가 현황, 그리고 한국 이지스함 대수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지스함 이란 대표 이미지

이지스함 이란

처음 이름을 들었을 때부터 뭔가 특별해 보였습니다. 이지스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 신화 속 방패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름부터 방어의 상징성을 담고 있는 셈이지요.

이지스 뜻
이지스는 방패라는 뜻입니다.

실제로 이지스함은 단순히 크고 튼튼한 배가 아니라, 이지스 전투체계라는 첨단 방공 시스템을 탑재한 군함을 말합니다. 이 체계는 고성능 레이더와 함대공 미사일, 컴퓨터 기반의 통합 전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지스함 예시, 세종대왕급

덕분에 이지스함은 수십 개의 표적을 동시에 추적하고 요격할 수 있습니다. 초음속 미사일은 물론, 탄도 미사일까지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그래서 ‘바다 위의 방패’라는 표현이 괜히 나온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부

이지스함 보유국가

궁금해서 더 찾아보니, 이지스 전투체계를 보유한 나라는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각국의 전략적 필요와 안보 환경에 따라 도입했거나 건조 계획을 세우고 있었습니다.

국가 주요 이지스함
미국 타이콘데로가급, 알레이 버크급
일본 공고급, 아타고급, 마야급
대한민국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호주 호바트급
스페인 알바로 데 바잔급
노르웨이 프리드요프 난센급
캐나다 리버급(계획)
독일 F127급(계획)
사우디 MMSC(계획)

특히 미국은 압도적인 숫자의 이지스함을 운용 중이며,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대표적인 보유국이었습니다. 단순히 군사력이 아니라 각국의 안보 전략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라는 점이 흥미로웠습니다.

이지스함 상판

한국 이지스함 대수

가장 눈길이 갔던 부분은 역시 한국 해군의 보유 규모였습니다. 주변 정세를 생각하면 이 부분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느껴졌습니다.

현재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이지스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종대왕급 구축함: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류성룡함 (총 3척)
  • 정조대왕급 구축함: 정조대왕함 (1척 진수, 3척 추가 계획)

즉, 현재 기준으로 실제 운용 가능한 한국 이지스함 대수는 총 4척입니다. 향후 계획까지 포함하면 최소 7척 규모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특히 정조대왕급은 탄도미사일 요격 능력을 탑재해, 앞으로 한국 해군의 전략적 역할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전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정조대왕급
정조대왕함

마치면서

정리해 보면, 이지스함 이란 단순한 전투함이 아니라 현대 해군의 핵심 전투체계이자 방패입니다. 이지스함 보유국가 현황을 보면 미국이 압도적이지만, 아시아에서는 한국과 일본이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 이지스함 대수는 아직 제한적이지만, 정조대왕급과 추가 건조 계획을 고려하면 앞으로 더욱 중요한 전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지스함은 항공모함보다 더 강력한 전력입니까?

아닙니다. 항공모함은 공격 플랫폼이고, 이지스함은 방어와 지휘에 특화된 전투체계입니다.

 

이지스함이 없으면 탄도미사일 방어가 불가능합니까?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지스 전투체계는 탄도미사일 방어 효율을 크게 높여 줍니다.

함께하면 좋은 글

열병식 뜻과 하는 이유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